목록Algorithm & Data Structure (9)
승쨩개발공부

재귀함수대부분의 인터넷 설명을 보다보면 재귀함수는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것이라고 표현한다.하지만 실상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다. 해당 표현으로 이해를 하게되면결국 같은 함수로 오해하여 이해할수 있기 떄문이다. 재귀함수란 흔히 나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라고 많이들 이야기 하지만 실제로는 코드가 재활용 되어 같은 이름의(다른함수)를 또 호출하는 것이다.결론적으로 코드만 같고 다른 함수로 이해 하면 구조를 파악하기 쉽다.장점변수를 여럿 만들 필요가 없다.예를들어 현재 상태를 저장해야 할 경우 tmp 변수를 만들기보다 상태를 메서드로 재귀적으로 호출하면서 변경된 상태를 전달 함으로써 변수의 수를 줄일 수 있다.ex) While문이나 for문같은 반복문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에 코드가 간결해진다. 단점지속적으..

문제1 String 사용 풀이 Char길이를 직접 구해서 사용 풀이 Strlen 사용해서 풀이

해시테이블해시 테이블이란 해시함수를 사용하여 변환한 값을 색인(index)로 삼아 키(Key)와 데이터(Value)를 저장하는 자료구조를 말한다. 기본 연산으로는 탐색(Search), 삽입(Insert), 삭제(Delete)가 있다. Direct Adress Table먼저 가장 간단한 형태의 해시테이블로 이름 뜻대로 키 값을 주소로 사용하는 테이블을 말한다. 이는 키 값이 100이라고 했을떄 배열의 인덱스 100에 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 int형 배열 Bucket에 0~255 인덱스 중 char형 배열의 아스키 코드 의 값 자체를 Index로 활용한다// 출력결과는 A = 65, B = 66, C = 67. D = 68, E = 69, A = 65이니// 65~69번쨰 인덱스에 0에서 ..